Name : SAP Study
Category : Software, ERP
Purpose : SAP 공부. 순전히 개인적으로 공부용.
compatibility : ...
Etc :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영어 실력은 필요! 하지만 저처럼 짧은 영어 실력이라도 노력한다면 반드시 성공하리라!!!
일단 처음에 갑자기 SAP 시작하라고 하면 당황스러움으로
SAP 코리아 주소
그리고 SAP 이 뭔지 알게 되었다면
개인적으로 찾아서 모아놓고 있는 자료들
그럼 SAP 으로 here we go!
2017년 3월 25일 토요일
ERP 용어
ERP 용어 | |
용어
|
설명
|
ABAP/4
(Advanced Business Application Program for 4-generation Language) | 협업 비즈니스 솔루션 회사 SAP AG가 개발한 4세대 고급 프로그래밍 언어로 기존의 3세대 언어 C나 C++, JAVA 보다 자연어에 더 가깝다. 이 언어는 SAP사에서 제공하는 ERP 소프트웨어인 SAP R/3 시스템을 회사에 맞게 구축하는 데 쓰이는 SAP R/3에 기반을 둔 언어이며, 인터프리트되고 컴파일되는 언어이다. ABAP/4 언어로 작성되는 프로그램을 부문별로 나누면 다음과 같은 형식이 된다. ● 레포트 프로그램. 단순하게도 구성할 수 있고, 또 어렵게도 구성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단순하게 구성한다. ● 스크린 프로그램. 관리하는 자료들을 입력하는 화면 ● BDC 프로그램. 관리하는 데이타를 입력하는 방법의 하나로 구성되어 있는 데이타들을 일괄적으로 Up-Load하고자 할 때 사용 위의 3가지 형식이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며, 그 외에도 EXIT 프로그램, 사용자 정의함수 프로그램 같은 것이 있다. |
ABC analysis
(ABC 분석) | 자재 사용실적에 따라 자재를 분류하는 분석 방법. 자재 사용실적은 현재 가격에 수량을 곱하여 산출할 수 있다. 분석 결과에 따라 각 자재별로 ABC등급이 부여되고, 이 등급에 따라 적당한 관리가 이루어 진다. 일반적으로 ABC등급은 다음과 같은 기준에 따라 부여된다. ● A : 중요 자재/사용 금액이 높은 자재 ● B : 덜 중요한 자재/사용 금액이 중간인 자재 ● C : 상대적으로 중요하지 않은 자재/사용 금액이 낮은 자재 |
ABC indicator
(ABC 등급) | 자재별 중요도를 나타내는 지시자로, ABC 분석 결과에 따라 시스템이 자동적으로 갱신하도록 할 수도 있고 사용자가 임의로 지정할 수도 있다. |
AC
| 회계 - 일반 |
Access (접근)
| 메뉴나 프로그램, 리포트등을 통하여 ERP 시스템상의 기능을 사용하거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능력 |
Account (회계)
| 자산, 부채, 자본, 수익, 비용의 변동을 체계적으로 기입하기 위해 동일한 성격을 가진 항목을 요약하여 표시한 이름 |
Account assignment
(계정 지정) | 소모성 자재 주문 시 비용이 전기될 계정을 지정하는 것 |
Account assignment category
(계정 지정 카테고리) | 자재별 계정 지정(account assignment)규칙을 지정하는 키. 이 필드는 해당 자재에 대해 어떤 계정 할당 데이터(예, 코스트 센터, 계정번호 등)가 필요한지를 결정한다. |
Account group (계정 그룹)
| 재무회계에서 총계정 원장(G/L account)에 전기할 때 계정 지정에 사용되는 키 |
Account period (회계기간)
| 회사의 회계연도내에 포함되는 특정 시간 주기 |
Add-On
(=bespoke program, 추가개발) | 사용자 독자적으로 테이블과 프로그램등을 신규로 개발하여 패키지 시스템에 포함시키는 것 |
ALV
(ABAP List Viewer) | SAP Standard에서 제공되는 View함수를 사용하는 프로그램으로 ALV를 통해 조회된 DATA를 수정/변경 할 수 있으며 신규 데이터도 입력 가능하다. Report List 에서 Sort, Sum, Find 등을 개발자가 직접 코딩 할 필요 없이 자동으로 처리해 주므로 작업이 훨씬 수월해지며 시간을 아낄 수 있다. ALV 주목적은 자료 가공이 아닌 자료를 보여주는 것이다. |
AM
(Fixed Assets Management) | 고정자산 관리 |
AP
(Application Platform) | 어플리케이션 플랫폼 |
AP
(Account Payable) | 매입채무관리를 의미하며, ERP 시스템의 모듈 중 ‘매입채무관리’를 의미하거나, 공급자로부터 차용되거나 수령된 물품이나 서비스의 양(화폐가치)을 의미 |
AR
(Account Receivable) | 매출채무관리를 의미하며, 고객들에게 제공된 물품이나 서비스의 양을 의미하거나 ERP 시스템의 모듈 중 ‘매출채권관리’를 의미 |
ATP
(Available to Promise) | 납기약속 |
Authorization
(권한부여) | Authorization은 사용자에게 어떤 작업을 할 수 있거나 어떤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하는 과정으로, 어떤 사용자가 어떤 시스템을 액세스할 수 있는지, 그리고 부여된 사용권한은 어디까지인지(파일 디렉토리의 접근 범위, 허용된 액세스 시간, 할당된 저장 공간의 크기 등)를 정의하는 것 |
Balance Sheet
(대차대조표) | 특정시점의 기업 재무상태를 표현 |
BBP
(Bank Buying Price) | 은행매입율 |
BC
| BC |
BDC
(Batch Data Communication) | 주로 데이터를 일괄적으로 Up-load할 때 사용 |
Big Bang
| 일괄 전개를 의미하며, ERP 시스템의 모든 기능 모듈들을 단 한번에 실운영으로 전환(go-live)하는 프로세스 |
Blocked stock
| 품질 등의 문제로 출고가 금지된 자재 재고. 이 자재는 MRP계산 시 보유재고로 생각하지 않음. |
BOA
(Bill of Address) | 고객에게 청구서나, 송장, 물품들을 송부할 주소 |
BOM
(Bill of Material) | 제조 항목을 구성하는 모든 구성요소들의 목록(제품이나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부품들과 원단위 등을 구성한 것)으로 BOM은 다음과 같은 많은 작업에 중요한 기본적인 정보를 제공해 준다. ● MRP ● 제품 원가 계산 ● 작업오더별 필요 부품리스트 |
BOM category
(BOM 카테고리) | BOM 구성 대상(자재, 설비, 문서)별로 BOM을 분류하는 것. BOM 카테고리별로 관리되는 구체적 데이터가 다르다. ● 자재마스터와 연결된 BOM (자재 BOM) ● 장비마스터와 연결된 BOM (장비 BOM) ● 문서마스터와 연결된 BOM (문서 BOM) |
BOM group
| 동일한 자재에 대해 복수의 alternative 들이 존재하는 경우, 이러한 alternative들을 묶어서 BOM 그룹이라 한다. BOM 그룹내의 BOM들은 하나의 BOM 번호로 저장된다. |
BOM item
(BOM 품목) | 어셈블리(BOM)를 구성하는 부품들을 BOM 품목이라 한다. BOM 품목은 특성에 따라 품목 카테고리(item category)로 구분된다. 각 BOM 품목별로 다음과 같은 데이터들을 관리한다. ● 아이템 번호 ● 부품의 자재 번호, 수량, 단위 ● 유효기간 ● 아이템 Text |
BOM usage
| 구성된 BOM의 용도를 관리하는 필드. BOM usage를 이용해 사용(관리)하는 부서마다 별도의 BOM을 구성하여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본적으로 다음과 같은 BOM usage들이 제공된다. ● 생산용(production) ● 설계용(engineering/design) ● 원가용(costing) ● 설비관리용(plant maintenance) ● 업업용(sales) ● 자재출고용(issue) ● 일반용(universal) |
BOM validity
| BOM이 유효한 공장 및 기간 ● BOM이 작성되면 유효 영역은 공장 레벨에서 정의된다. 유효 영역(공장)은 다른 공장의 object에 같은 BOM을 지정함으로써 확장될 수 있다. ● 유효기간은 BOM이 유효한 시간을 정의한다. 이 기간은 valid from date(유효시작일)와 valid to date(유효종료일)를 이용하여 정의된다. |
BOL
(Bill of Lading) | 운송자가 물품을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운송할 때의 공식 계약 문서 |
Book inventory balance
(장부 재고) | 시스템에 기록된 재고기록에 대한 회계 정의. 이 값은 재고이동 상황을 반영하여 항상 최선의 값으로 갱신되어야 한다. 장부 재고(book inventory)는 최소한 1년에 한번은 재고실사를 통해 실제 수량과 비교/조정되어야 한다. |
BPR
(Business Process Reengineering) | 업무 프로세스 흐름을 완전히 재설계하는 것 |
BW
(Business InformationWarehouse) | SAP Business Information Warehouse로 전체 기업정보의 중심축으로써 기업의 신속하고 정확한 의사결정을 지원하기 위해 관련된 정보에 바로 접근하고, 쉽게 보고 분석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Data Warehouse |
CA
| Application 전반 구성요소 |
CATT
(Computer Aided Test Tool) | BDC 처럼 원하는 Transaction을 Recording 하여 대량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으로 운영 시스템이 아닌 개발 서버나 신규 프로젝트시에 테스트용 대량의 데이터를 생성할 때 주로 사용한다. (단, BDC 보다 제약조건이 많아서 간단한 ) |
CBO
(Customer Bolt On) | Enhancement라고 불리기도 하며, SAP R/3의 표준기능, 테이블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상태에서 추가하는 기능을 개발하는 것으로 SAP사에서 만들어놓은 오브젝트가 아닌 새로운 오브젝트를 만드는 행위 (추가하는 Report의 개발은 일반적으로 CBO라고 표현하지 않음) |
CCA
(Cost Control Area) | 코스트센터 |
Chart of account
(회계계정) | 회사에서 재무적 자원들을 관리하기 위해 사용하는 계정코드집(= financial chart) |
Change Management
(변화 관리) | ERP 구축 프로젝트는 조직과 프로세스에 있어서의 큰 변화를 수반하기 때문에 조직원들의 ERP도입에 대한 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해 조직원들을 대상으로 새로운 업무프로세스, 조직구조 등을 자발적으로 수용하도록 하기 위한 제반활동(교육, 홍보 등)을 의미 |
Class (클래스)
| 공통의 특성을 가진 유사한 객체의 그룹으로 객체들의 예는 다음과 같다. ● 자재 ● 배치 (Batch) ● 문서 (Document) |
Classification
(분류법) | 객체(object)를 class에 지정하는 것으로 객체가 class에 지정될 때 객체의 값들은 class에 속한 특성으로 지정된다. |
CO (Controlling)
| 관리회계를 의미하며, 비용계획의 수립과 집계, 표준원가 및 실제원가의 계산, 사전 및 사후 수익성 분석의 수행, Profit Center별 성과분석 등을 수행한다. |
Configuration setting
(= processing option) | 사용자가 특정 태스크를 수행하기 위해 프로그램에 지시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다양한 파라미터를 명시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으로 하나의 프로그램에 몇 가지의 서로 다른 configuration setting을 저장할 수 있도록 해주는 시스템도 있음 |
Consignment
| 협력업체가 고객(구매자)의 저장위치에서 자재를 관리하는 형태의 사업을 의미하며, 자재가 출고될 때 까지는 협력업체가 자재의 소유권을 갖는다. 코크 자재(Consignment material)의 대금 청구는 자재 출고 실적에 따라 이루어 진다. 따라서 협력업체는 정기적으로 자재 출고량(사용량) 정보를 제공받는다. |
Consignment material
(코크 자재) | 협력업체가 회사의 저장시설에 미리 제공하는 자재를 의미하며, 이러한 코크 자재는 출고되기 전에는 협력업체의 자산이므로 회사의 자산에 포함되지 않는다. 출고량(사용량)에 따라 정기적으로 협력업체에 대금을 지불한다. |
Consignment stock
| 협력업체가 제공한 자재의 재고로 주문자의 구역에서 보관된다. 이 재고는 창고에서 출고되어 생산용으로 이용되거나 회사의 자체 평가 재고로 넘어갈 때까지는 협력업체가 소유권을 갖는다. |
Cost element
(원가요소) | Company code내에서 발생되는 모든 원가요소에 대한 분류 기준. 원가 항목들이 기표 될 때마다 특정 원가요소가 할당되어 있어야 함. 원가요소에는 외부에서 조달되는 자재 및 서비스와 같은 일차 원가요소 (primary cost element)와 내부 액티비티(activity)와 같은 이차적 원가요소 (secondary cost element)가 있음. |
Cost object
(원가 오브젝트) | 발생된 원가가 부가되어(value-added) 생성된 단위. Cost object는 자재 또는 제품이 될 수 있으며, production/process order, networks 및 WBS element 또는 run-shcedule header등이 될 수 있음. |
Consumable material
(소모성 자재) | 코스트 센터나 자산 계정으로 전기되는 구매 자재 혹은 서비스를 의미하며, 대표적인 소모성 자재들은 다음과 같다. ● 자재 마스터 레코드가 없는 경우 ● 자재 마스터 레코드는 있지만 재고를 관리하지 않는 경우 ● 자재 마스터 레코드가 있으며 단지 수량만 재고 관리하는 경우 |
Consumption-based planning
(소비기준계획) | 과거의 사용 실적에 따라 자재 소요량을 계획하는 방법으로, SAP R/3에서는 크게 다음과 같이 2가지 방법이 있다. ● 재발주점 방식 자재 계획(reorder point planning) ● 수요예측에 근거한 자재 계획(forecast-based planning) - SAP R/3에서는 수요예측 시 기본적으로 1차 평활법(1st-order exponential smoothing procedure, Winrwe's procedure)을 이용한다. |
Continuous inventory
(연속 재고) | 년간 재고실사(annual inventory)와는 반대로 회계연도 내에는 언제나 재고실사 결과를 갱신 할 수 있는 재고관리 방법. 이러한 방식의 창고관리 시스템에는 다음과 같은 3가지 방법이 있다. ● Continuous inventory : 매일 매일 일정한 저장 위치들을 돌아가며 실사 ● 자재 입고시 재고실사 ● 재고레벨이 일정 이하인 자재를 대상으로 재고실사 |
Conversion program
(데이터 전환 프로그램) | 기존 시스템으로부터 새로운 ERP 시스템으로 데이터를 전환하기 위한 프로그램 |
Cost center
(코스트 센터) | 책임 영역, 위치, 회계 방법 등으로 구분되는 회사내의 단위 |
CRM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 고객관계관리, 대 고객관리 시스템 |
CRP
(Customer Requirement Plant) | 현장의 고객요구서 |
CS
(Consolidation) | 결합재무제표 |
Customizing
(커스터마이징)
| 미리 준비된 가이드에 따라 시스템의 상세한 규격을 정의하는 파라미터의 설정 작업을 의미한다. SAP R/3를 적용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일을 행하는데 필요한 모든 도구 ● 적용에 들어가기 전에 SAP시스템의 초기 configuration ● 적용 단계에서의 시스템 조정 ● 추가적인 SAP적용 기능의 실행 |
Data conversion
| 데이터 전환을 의미하며, 기존 레거시 시스템으로부터 ERP시스템으로 데이터를 전환하는 프로세스로 컨버젼 프로그램등을 활용하여 수행 |
Delivery costs
(운송비) | 자재 원가에 부가해서 주문자에 의해 발생하는 비용 ● 운임 ● 관세 비용 ● 기타 부대 비용 (포장, 보험 등) |
Dialog Module
| 사용자와의 대화가 가능하게 만드는 Module(프로그램 소스)로써, 사용자가 마우스를 클릭하고, 버튼을 조작하는 등의 Dialog를 처리하는 Module(소스로 구성된)이라고 본다면 그 Module에 따라 스크린이 동적으로 움직인다는 점이다. Screen은 Sequence(순번)을 가지고 있다. |
DM
(Demand Management) | 수요관리 |
Drill down
| 사용자가 종합된 정보(aggregate information)으로부터 좀 더 상세한 정보로 이동(top-down)하면서 볼 수 있도록 해주는 ERP 시스템의 중요한 기능 |
DSS
(Decision Support Systems) |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 |
DTI
(Digital Tax Invoice) | 전자세금계산서 |
EAI
(Enterprise Arichitecture Intergration) | EAI(Enterprise Application Integration, 전사적 어플리케이션 통합)는 기업의 핵심 어플리케이션인 DW(Datawarehouse, 데이터웨어하우스), ERP, CRM(공영DBM), SCM, B2B 등 기업에서 운영하는 서로 다른 어플리케이션 및 시스템을 통합하는 것을 말한다. 기업은 EAI 솔루션을 통해 업무의 효율성 및 확장성을 높이고, 유지보수시간 및 비용 절감,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
EC
| 기업 관리회계 |
EIS
(Execution Information Systems) | 기획/의사결정 |
EP
(Enterprise Portal) | 기업의 내부 및 외부에 산재해 있는 정보를 결합, 관리, 분석하고 배포할 수 있게 해주는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의 집합으로서, 정보 이용자가 단일화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중요한 의사결정을 내리는데 필요한 맞춤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해주는 어플리케이션이다. |
ERP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 경영 환경의 변화에 즉각 대응해 BPR과 연계되어 경영 이념에 따라 기업조직을 지속적으로 변혁시키기 위한 경영혁신 또는 개혁 |
ERP 패키지
| ERP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구축하고 운용하기 위한 핵심 에플리케이션 역할을 하는 소프트웨어 |
ERP 시스템
| 최신 정보기술을 활용해 ERP 개념을 실천하기 위한 정보시스템, 혹은 ERP 개념을 구체적으로 실현시킨 정보 시스템 |
ERS
(Evaluated Recept Settlement) | 영수증 검증기능 |
Extended ERP
(확장형 ERP) | 기존의 ERP시스템에 고객관리(CRM) 시스템, 지식경영(KM), 전략적 기업관리(SEM), 공급체인 관리(SCM) 등이 추가된 시스템 |
FI
(Financial Accounting) | 재무회계를 의미하며, FI 모듈은 총계정원장 관리(G/L), 채권관리(AR), 채무관리(AP), 고정자산관리(AA), 자금관리(TR)의 하위모듈로 구성되어 있으며, 구매, 생산, 판매, 자금, 인사 등 다른 부문들과 Integration하여 각 거래 정보들을 수집/기록한다. |
FIN
| 재무회계 |
FS
| 금융 서비스 |
GL
(General Ledger) | 총계정원장으로 회사의 모든 업무 처리를 위해 필요한 계정들의 집합 |
Go Live
(= Cut Over, 실운영) | 회사가 기존 레거시 시스템으로부터 신규 ERP시스템으로 전환(Swich)하는 시점 |
GRC
| 지배 구조, 리스크 및 법규 준수 |
Hard Coded
(하드 코딩) | 원하는 상태로 기능을 변경할 수 없는 소프트웨어 |
HR
(Human Resources) | 인적자원관리, 조직관리 및 인사관리 시스템 |
IAN
(International Article Number) | 유럽에서 사용되는 자재 분류 코드 |
IM
(Investment Management) | 투자 관리 |
IMG
(Implementation Guide) | |
Income Statement
(손익계산서) | 자본거래 이외의 원천에 의한 순자산의 증감내역을 나타낸 표로 일정기간 동안의 기업의 수익과 비용을 표현 |
Integration (통합)
| ERP 시스템의 중요한 기능중의 하나로서 기업의 개별 업무기능이 전체적으로 일관된 업무흐름을 가질 수 있도록 연결하여 주는 행위임. Integration은 통신 프로토콜이나 소프트웨어, 인터넷, 워크플로우 등과 같은 인터페이스 기술들을 통하여 가능 |
Interface
(인터페이스)
| 두 개의 서로 다른 포인트사이의 통신 프로세스로서 ERP 시스템내의 모듈들 사이나, 컴퓨터 플랫폼 사이 또는 서로 다른 소프트웨어 패키지 사이를 서로 연결해 줌 |
Interface Program
(인터페이스 프로그램) | (1) 레거시 시스템의 데이터를 신규 ERP 시스템으로 또는 그 반대로 전환하는 프로그램으로 대부분의 경우 직접 개발(Custom developed)되며, 시스템이 실운영되면 폐기됨. (2) 두 개의 ERP 시스템 또는 ERP 시스템과 관련된 다른 소프트웨어나 어플리케이션이 ERP 시스템과 연계될 수 있도록 해주는 프로그램으로 직접 개발되거나 소프트웨어 제공사에서 상용제품의 일부로 포함하여 시판하기도 함. |
Invoice (송장)
| 고객에게 배송 또는 제공되는 물품 또는 서비스의 목록과 가격, 세금, 양 등을 기록한 문서 |
IS-B
| 은행 구성요소 |
Item master
(항목 마스터)
| 대부분의 ERP 시스템이 제공하는 기본 기능중의 하나로서 회사의 재고 항목들의 특성을 정의하는 중앙 리퍼지터리를 말함. |
JIT
(Just-in-Time) | 낭비를 배제하고 생산성을 높이는 두 가지 목적 달성을 위해 사용되는 작업 관리 이론. 실제 작업진행에서 JIT개념은 모든 단계에서의 재고레벨을 낮추게 되며, 제조 및 생산 단계에서 이어지는 작업단계를 고려하여 적절한 시간(just-in-time)에 구매오더를 작성하게 됨. |
Job Description
(작업 명세서)
| 회사내의 각 Job에 대해 역할(role), 책임(responsibility), 자격(qualification)등을 기술한 문서로서, 이 문서의 내용은 ERP 시스템에서의 능력(Capability)와 제약(limitation)에 영향을 미치며 상호 일관성을 가져야 함. |
Journal Entries
(회계데이터 입력)
| 차변(debits)과 대변(credits)에 기초하여 총계정원장(general ledger) 또는 chart of account에 회계데이터를 입력하는 재무적 거래로서 ERP 시스템에서는 다양한 소스를 통하여 일어남. |
Kanban
| 표준용기를 사용하거나 각 용기에 부착되어 있는 카드와 함께하는 로트크기에 의해 제어되는 JIT생산방식의 실행방법. 필요자재가 공급되어질 작업(operations) 또는 공급자(suppliers)에게 신호를 전송하는 pull system |
KM
| Knowledge Management 의 약어 |
LE
| 물류 실행 |
Lead time
| 발주에서 입고까지 걸리는 시간 혹은 작업 시작에서 작업 완료 까지 거리는 시간 |
Legacy System
(레거시 시스템)
| 조직내에 존재하는 기존 시스템 또는 기존 기술을 의미하며 시대에 뒤떨어진 부적절한 시스템 또는 기술로 인식됨으로써 조만간 교체 또는 변경될 시스템 |
LIMS
(Laboratory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 작업장 정보관리 시스템 |
Link Test
(링크시험, 연계시험)
| 표준 모듈과 추가개발 프로그램이 함께 잘 운영되는가를 확인하기 위한 연결성 및 통합성 시험 |
LIS
(Logistics Information System) | 물류정보 시스템 |
LO
| 물류 - 일반 |
LSMW
(Legacy System Migration Workbench) | 외부 데이터를 SAP로 올리는 툴, 외부 파일을 upload하고 일정한 규칙에 따라 코드변환을 한 후 SAP 표준거래를 통해서 대량 처리 ● 생성된 LSMW를 다른 Client로 전송하는 방법 ☞ 일반적으로 LSMW를 개발서버에서 생성하고 테스트를 진행한다. 그 후에 운영으로 반영을 할 때는 Export/Import Option을 통해 진행할 수 있다. |
MDM
| SAP Netweaver 마스터 데이터 관리 |
MM
(Material Management) | 구매 및 자재관리를 의미하며, 자재정보관리, 구매, 자재관리, 창고관리, 송장검증, 자재단가정보 관리, 재고조사 업무 수행한다. |
Modification (변경)
| SAP의 표준기능(ERP 패키지의 소스코드나 데이터베이스 구조 자체)를 직접 변경하는 것으로 SAP사는 Modification은 권고하지 않는데, 그 이유는 SAP의 전체적인 기술구조에 대한 명확한 이해가 없는 상태에서 표준 Source code나 테이블을 건드리는 작업이 시스템의 무결성을 저해할 수 있고, 향후 ERP 시스템 버전 업그레이드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가능한 지양하는 것이 바람직 |
Module (모듈)
| ERP 소프트웨어의 기능(function)과 같은 말로 판매, 구매, 재고 등을 의미 |
Module Pool Program
| Module은 Reusable 관점과 Encapsulation 관점에서 Processing Block 또는 Unit으로 볼 수 있고 복수개의 모듈들이 Pooled되어 Screen Flow Logic에서 사용한다. 즉, Screen의 Event와 Flow Logic을 구현하는 수단이 모듈이다. Module Pool Program의 구조는 크게 PBO(Process Before Output), PAI(Process After Input) 2가지 모듈로 구성된다. |
MPS
(Master Production Scheduling) | 기준생산계획 |
MRP
(Material Requirements Planning) | 제조 및 구매 항목들을 위한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BOM, 재고 및 다양한 계획수립 파라미터들을 활용하는 방법론 (자재별로 소요량과 공급량을 비교하여 자재 계획을 수립하는 것) |
MRP Ⅱ
(Material Resource Planning) | 제조 회사내의 모든 자원들에 대한 효과적인 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방법론으로 business planning, sales and operations planning, production planning, master production scheduling, material requirements planning등을 포함 |
Number range interval
(번호 범위 지정) | 사용자가 정의한 번호의 범위로 각 객체(object)별로 별도의 범위를 관리할 수 있다. (예, 자재번호 관리시 원자재는 1로 시작하고, 반제품은 2로 시작하고, 완제품은 3으로 시작하도록 지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번호의 범위가 000001에서 500000로 정의되어 있으면 시스템은 1로부터 시작하여 가장 높은 번호(500000)에 이를 때까지 번호를 순차적으로 증가시키며 지정한다. |
OLAP
(On-Line Analytic Processing) | |
OLTP
(On-Line Transaction Processing) | 온라인 거래처리 |
OP
(Oders Projects) | 주문계획 |
PA
| 인사관리 |
PA-ER
| E-Recruiting |
PAI
(Process After Input) | Module Pool Program의 하나로 사용자의 어떤 작업에 의해 수행되는 단계 예) 화면상에 Enter Key를 눌렀을 때 입력 Data를 검증 |
Parameter (파라미터)
| ERP 사용자가 제공하는 정보로서 프로그램에 대한 명령(지시어)의 역할을 한다. |
PBO
(Process Before Output) | Module Pool Program의 하나로 프로세서 작업을 수행함에 있어서 화면상에 어떤 작업이 수행되기 전까지를 다루는 것 예) 화면이 출력될 때 특정 필드가 Disable 시킴 |
PCA
(Profit Controlling Area) | 이익통제영역 |
PCS
(Process Control System) | 처리통제 시스템 |
PDC
(Plant Data Collection) | 현장정보수집 |
PDM
(Product Data Management) | 제품정보관리 |
PE
| 교육 및 이벤트 관리 |
Phased Implementation
(단계적 구현) | 구현 프로세스나 실 운영시 모든 기능 모듈들을 동시에 구현 또는 운영하지 않고 일부 모듈부터 구현 또는 운영하는 방법 |
Pilot Test
(파일럿 시험) | ERP 시스템의 프로세스 흐름을 시험하는 것으로 특정 기능이나 모듈 또는 전체 ERP 시스템을 대상으로 하기도 함 |
PLM
(Product Lifecycle Management) | 제품 수명 주기 관리 |
PM
(Plant Maintenance) | 1) 설비관리를 의미하며 설비관련 Master Data 관리, 일상정비, 외주관리, 정기보수, 예방정비, 도면/문서관리, 설비투자관리 2) 설비의 최적 조건을 유지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유지/보수하는 것. DIN norm 31051에 따르면 설비관리 작업은 다음과 같은 행위들로 구성된다. ● Inspection : 설비의 상태를 점검하는 작업 ● Maintenance: 설비를 이상적 상태로 관리하는 작업 ● Repair : 설비를 이상적 상태로 복구하는 작업 |
PMIS
(Plant Maintenance Information System) | 설비관리 정보 시스템 |
PO
(Purchase Order) | 구매 주문을 의미하며, 공급자로부터 물품 구매 승인을 포함한 문서로서 해당 구매 주문과 관련된 모든 활동들에 대힌 트랜잭션을 기록하고 수행하는데 있어서 중심점 역할을 함. 구매 주문에는 다음과 같은 일반적인 데이터타가 포함된다. ● 납입 조건 ● 지불 조건 ● 자재 설명등 자재에 대한 상세 내용 ● 주문 수량 ● 납기일 ● 가격 |
POP
(Production Order Processing) | 생산오더처리 |
POS
(Point of Sales) | 판매시점처리 |
PP
(Production Planning) | 생산계획 및 생산관리를 의미하며, 년 단위/중기 생산계획 수립, 수지/화성 제품의 단기 생산계획 수립, 생산 실행 및 실적 처리, 생산기준정보 관리 |
PP-PI
(Production Planning for Process Industry) | 프로세스 생산계획 및 관리 |
PPIS
(Production Planning Information Systems) | 생산정보 시스템 |
Prototyping
(프로토타이핑)
| 샘플 제품이나 프로세스를 개발하고 테스팅하여 평가하는 절차로서, 적절한 프로토타이핑은 상당한 시간과 비용을 절감하고 더 높은 품질의 구현을 가능케 함 |
PR
(Purchase Requisition) | 자재 구매요청 |
PRT
(Production Resource and Tools) | 생산 자원 및 도구를 의미하며, 작업장에서 단위작업(오퍼레이션)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자원이나 도구. 대표적인 예는 다음과 같다. ● 작업지도서 ● 생산에 쓰이는 도구 ● 계측기 ● NC 프로그램 ● 도면 ● 지그류 |
PS
(Project System) | 프로젝트 시스템 |
PT
| 인사시간 관리 |
Purchasing document
(구매 문서) | 구매부에서 자재나 서비스를 조달하기 위해 이용하는 수단들. 표준 SAP R/3 시스템에서는 다음과 같은 구매 문서들을 제공한다. ● 구매요청서 ● 견적요청서 (RFQ) ● 견적서 ● 구매주문 ● 구매계약서 (Contract) ● 장기 구매 협약서 (Scheduling agreement) |
PURCHIS
(Purchasing Information System) | 구매정보 시스템 |
PY
| 급여계산 |
QM
(Quality Management) | 품질 관리를 의미하며, 원부재료 및 최종제품 검사, 품질검사표 발행, 품질정보이력관리, 시험장비의 검교정 및 이력관리, 고객불만 사항 처리를 수행한다. |
QMIS
(Quality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 품질관리 정보 시스템 |
R/3
| Real Time 3 tier ((DB, Application, Presentation) |
RE
| 부동산 관리 |
Release level
(릴리즈 레벨)
| 소프트웨어 공급자들에 의한 소프트웨어 시스템 식별 방법의 하나로서 소프트웨어 버전이 6.0이면, 다음에 나오는 release level은 6.1, 6.2, 6.3 등으로 나감 |
RIS
(Retail Information Systems) | 소매정보시스템 |
ROA
(Revinue Of Assets) | 손익센터별 투자자산수익률 |
Sales Order (판매 주문)
| 고객의 구매요구에 대한 승인을 포함한 문서로서 해당 고객의 주문과 관련한 모든 활동들에 대한 트랜잭션을 기록/수행하는데 있어서 중심점 역할을 함. |
Scheduling
(일정계획) | 오더 혹은 오퍼레이션의 시작일 및 종료일을 계산하는 것. 일정계획은 다음과 같은 2가지 방법으로 수행된다. ● MRP : 스케듈링시 자재마스터에 등록된 제조 리드타임 및 구매 리드타임이 주요하게 고려된다. ● CRP : 공정 및 작업오더 데이터를 이용해 스켸듈링이 이루어진다. SAP R/3에서는 다음과 같은 스켸듈링 타입이 제공된다. ● 전진계획법(forward scheduling) : 시작일로 부터 종료일을 계산 ● 후진계획법(backward scheduling) : 종료일로 부터 시작일을 계산 ● 혼합계획법(midpoint scheduling) : midpoint 오퍼레이션을 중심으로 이전 오퍼레이션은 후진 계획법, 이후 오퍼레이션은 전진계획법으로 계산 ● 네트웍계획법(network scheduling) : 네트웍의 각 구조들마다 최대 조기/지연 착수일/완료일을 계산 |
SCM
(Supply Chain Management) | 공급망 관리를 의미하며, 기업의 물류흐름을 관리, 통제하기 위한 업무 지원, 공급자로부터 물자를 조달하고 만들어진 상품을 물류거점(고객)까지 공급하는데 필요한 업무 수행원가 절감과 전체적인 제품 리드타임 단축이 핵심 |
Screen Object
| Screen은 ABAP Program에서 사용할 수 있는 가장 기본적인 오브젝트이다. 스크린 없이 User Dialog가 발생할 수 없기 때문이다. 쉽게 말하면 Screen은 화면 자체를 의미한다. 따라서 Screen을 정의하기 위해서는 ABAP Program에서 정의하는 것이 스크린이 속하는 Components(예를들어 Text Fields, Input/Output Fields 등)와 마찬가지로 Screen Painter에서 정의해야 한다. Screen은 Input/Output Mask와 Flow Logic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Flow Logic은 PBO/PAI로 나뉘어져 있다. |
Screen Program
| Screen Layout을 디자인하는 Tool을 제공함으로써 End-User의 목적에 부합하는 화면 구성을 할 수 있다. |
SD
(Sales & Distribution) | 판매 및 유통관리를 의미하며, 영업물류 영업부문:주문관리, 신용관리, 대금청구, 수금관리, 고객관리, 가격관리/ 물류부문:출하 및 수송관리 |
SEM
(Strategic Enterprise Management) | 전략적 전사관리 |
SIS
(Sales Information Systems) | 판매정보시스템 |
SOP
(Sales and Operations Planning) | 판매영업계획 |
SPC
(Statistical Process Control) | 통계적 처리 관리 |
SRM
(Stockholder Relationship Management) | |
Supply Chain (공급망)
| 자재가 구매로부터 생산을 거쳐 판매되기까지의 다양한 관계들과, 계획 수립에서 실행까지를 설명하는데 쓰이는 일반적인 용어 |
SV
| 서비스 |
System Test
(시스템 시험)
| 표준 모듈과 추가개발 코드를 모두 포함하여 업무 흐름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가를 확인하는 시험 |
System Integration Test
(시스템 통합 시험) | ERP시스템 전체의 운영 시험으로 ERP Core module, Add-on Program 및 Legacy system을 포함하여 전체적으로 실시하는 운영시험 |
TD
(Transportation/Distribution) | 수송 및 물류관리를 의미하며, 생산된 제품이 고객에게 전달되기까지의 물류흐름 전 과정을 관리하는 기능 |
Third Party Provider
(제3자 전문프로그램 제공사) | ERP 시스템의 기능이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를 제공하는 회사로서 바코드, POS, E-business, E-commerce 등을 제공하는 회사 |
TR
(Treasury) | 자금 관리를 의미하며, TR 모듈은 현금관리, 예적금 관리, 차입금 관리 및 시장 위험 관리 기능과 관련이 있다. |
Transaction (거래)
| ERP 시스템에서 업무를 수행하는데 있어서의 Activity를 의미 |
Unit Test (단위 시험)
| 단일 모듈, 단일 프로그램, 폼, 리포트, DB Trigger, Flexfield등 각 업무 오브젝트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확인하기 위한 시험 |
WBS
(Work Breakdown Structure) | 프로젝트관리용 프로젝트세부단계 |
WF
(Workflow) | 작업흐름을 의미하며, ERP 시스템내에서 발견되는 업무처리 순서 및 결재단계의 흐름을 말하며 이는 기능 모듈들이 특정 상황에 맞게 조정될 수 있도록 해줌으로써 ERP시스템의 유연성을 향상시킴 |
WM
(Warehouse Management) | 창고 관리 |
XAP
| 협업 CA |
피드 구독하기:
글 (Atom)
대항해시대 조선 랭작
숙련도 획득 방법 선박 건조, 선박 강화, 전용함 추가시 숙련도 획득 모두 동일한 공식 적용 획득 숙련도 공식 기본 획득 숙련도 ≒ int{건조일수 × 현재랭크 × (0.525)} 이벤트 & 아이템 사용...
-
1. 장치 및 프린터 2. 프린터 및 팩스 오른쪽 마우스 -> 프린터 추가 네트워크, 무선 또는 Bluetooth 프린터 추가 사용가능한 프린터 찾는 중 후, C364Series 선택 (프린터에 랜이 연결이 되어 있어야 함. 프린터 ...
-
숙련도 획득 방법 선박 건조, 선박 강화, 전용함 추가시 숙련도 획득 모두 동일한 공식 적용 획득 숙련도 공식 기본 획득 숙련도 ≒ int{건조일수 × 현재랭크 × (0.525)} 이벤트 & 아이템 사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