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web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web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14년 12월 11일 목요일

modern.IE 너 은근히 좋다.

Browser : Chrome Browser

웹 개발하려고 하는 사람은 이 사이트 알아두면 좋을 것같아서 포스트질.
알아두면 좋은 이녀석은 여기-> <Where are U?>
자신이 만든 페이지에 대해 알아보고 싶거나, 궁금한 웹 주소가 있다면 해당 주소를 복사해서 사이트 검색의 URL을 입력하라는 곳에 붙여넣기 한 다음 검색 버튼을 누르면 된다.
(물론 자신이 만든 페이지가 로컬이라면... <Where are U?> )

나중에 내가 이 글 쓰고나서 시간이 지난 다음 누가 'modern.IE 가 뭐야?' 라고 물으면 틀림없이 설명을 못해줄 것이 뻔하기에.
여기다가 적어놔야지.
웹 페이지를 스캔하는 등의 알려진 호환성 문제에 대한 보고서를 생성하는 분석 도구입니다 :
  • 표준 / 쿼크 모드
  • 날짜 라이브러리 중
  • CSS 접두사를 누락
  • 브라우저 플러그인에 의존
  • 브라우저 검출 코드
  • 응답 웹 디자인 사례
결론 : 난 시간이 지나면 modern.IE 란 사이트가 있었는지 까먹을게 뻔하다. 

2014년 12월 7일 일요일

Play Color Mix

Browser : Chrome Browser

From 삼촌.
요즘 색깔 섞기 놀이에 빠진 너를 위해 급하게 만들었어. lol
주말에 이거 가지고 잼나게 놀자꾸나.
물론 1분이 안되서 관심이 사라지겠지만, 그래도 같이 놀아보아요. :)
아!!! 물감을 공급해주려고 하였으나,
급심한 불경기로 인하여 삼촌 주머니가 허전하다거나.
치킨피자 과자등의 지출이 많아 물감 대신 이런 것을 만든 것은 절대 아님.

To 조카.



결론 : 벌써 크리스마스가 다가오는구려.

2014년 12월 2일 화요일

JavaScript String Method(대,소문자)

Browser : Chrome Browser

아! 뭐지.
오늘의 IT 뻘짓.
어떤 내용을 보여주는 글 중에 일부 대문자를 전부 소문자로 바꾸라는.
왜? 잘 쓰던 대문자를 소문자로 왜!왜!왜!
뭐 이유는 그렇게 해달라는 요청땜시.
뭐 쉬운 작업이지만 쉬운 작업이라고 마구 받다보면 결국은 노가다.
참고로 지금 내가 하려는 스크립트나 어떤 프로그램을 사용해서 한게 아니라 일일이 타자로 고치다 보면. 실수가 나온다.
그러면 돌아오는 말은 "그런 쉬운 작업도 틀리나?" 이다.

그래서 난 스크립트로 하란다.
1. 대문자 -> 소문자




2. 소문자 -> 대문자




결론 : 난 바쁘다.

2014년 11월 28일 금요일

블로그에 포스트 리스트 보여주는 스크립트

<div>
<div id="posts" style="padding: 10px;">
</div>
<div align="center" id="posts-pgno" style="cursor: pointer;">
</div>
</div>
<script language="Javascript" type="text/javascript">
 /** url의 Parameter를 얻는 Class. **/
    var request = { 
  parameter: function(name) {
   return this.parameters()[name];
  },
  
  parameters: function() {
   var result = {};
   var url = window.location.href;
   var parameters = url.slice(url.indexOf('?') + 1).split('&');
    
   for(var i = 0;  i < parameters.length; i++) {
    var parameter = parameters[i].split('=');
    result[parameter[0]] = parameter[1];
   }
   return result;
  }
 }
 
 /** Page의 정보를 저장. **/
 var page = {
  //초기화.
  init: function(home,max){
   page.home = home;
   page.max = max;
   page.label = '';
   page.no = 1;
  },   
   
  //url의 parameter에서 pgno 값을 읽어 옮.
  setPage: function(){
   var url = window.location.href;
 
   var pl = url.lastIndexOf("/label/");
   var pq = url.lastIndexOf("?");
   
   if(pl != -1)
    page.label = url.substr(pl+7,((pq!=-1)?pq:url.length)-(pl+7));
   
   if(url.indexOf("pgno") != -1)
    page.no = request.parameter("pgno");
    
  }
  
 }
 /** feed를 parsing 하여 결과 뿌려 줌. **/
 var obj = {
  init: function () {
   obj.obj = document.getElementById('posts');
   obj.pgno = document.getElementById('posts-pgno');
  },
  
  // 검색을 요청하는 함수 
  pingSearch: function () {
   //변수 선언.
   obj.s = document.createElement('script');
   obj.s.type = 'text/javascript';
   obj.s.charset = 'utf-8';
   
   //feed callback 함수를 이용 json 객체 구한 후 pongSearch 함수호출. 
   if(page.label == '')
    obj.s.src = '' + page.home + 
     '/feeds/posts/summary/?max-results='+(page.no*page.max)
     +'&alt=json-in-script&callback=obj.pongSearch';
   else
    obj.s.src = '' + page.home + '/feeds/posts/summary/-/'
     +page.label+'?max-results='+(page.no*page.max)
     +'&alt=json-in-script&callback=obj.pongSearch';
    
   //append.
   document.getElementsByTagName('head')[0].appendChild(obj.s);
  },
   
  // 검색 결과를 뿌리는 함수 
  pongSearch: function (z) {
   obj.obj.innerHTML = '';
   
   /* 글 목록을 뿌려 줌. */
   for (var i = (page.no-1)*page.max; i < page.no*page.max; i++) {
    //예외처리.
    if(i >= z.feed.openSearch$totalResults.$t)
     break;
    
    //변수선언.
    var li = document.createElement("li");
    var a = document.createElement('a');
    
    //link로 사용할 base url.
    var url = page.home + '/search';
    if(page.label != '')
     url += '/label/' + page.label;
    
    //최종 link를 url 입력.
    if (i == 0) 
     a.href = url + '?max-results=1';
    else {
     var pub=obj.changeTime(z.feed.entry[i-1].published.$t);
     a.href = url + '?updated-max=' + pub 
     + '&max-results=1&pgno='+page.no;
    }
    a.innerHTML = obj.escapeHtml(z.feed.entry[i].title.$t);
     
    //append
    li.appendChild(a);
    obj.obj.appendChild(li);
   }
    
   /* page 뿌려줌. */
   obj.pongPgno(z);
  },
  
  // page를 뿌려주는 함수.
  pongPgno: function(z){
   obj.pgno.innerHTML = '';
   var before = document.createElement('a');
   var next = document.createElement('a');
   
   var ten = parseInt((page.no-1)/10);
   var total = z.feed.openSearch$totalResults.$t;

   /* before page */
   before.innerHTML = ' << ';   
   if(ten>0)
    obj.onMouseDown(before, ten*10);
   obj.pgno.appendChild(before);
   
   /* page number */
   for(var i=ten*10; i< (ten+1)*10; i++){
    if(i >= total/page.max)
     break;
    var a = document.createElement('a');
    obj.onMouseDown(a,i+1);
    
    a.innerHTML = ' ' + (i+1) + ' ';
    
    if(i+1 == page.no)
     a.style.color = 'yellow';     
    obj.pgno.appendChild(a);
   }
    
   /* next page */
   next.innerHTML = ' >> ';
   if(ten< parseInt(total/page.max/10))
    obj.onMouseDown(next, (ten+1)*10+1);
   obj.pgno.appendChild(next);
  },
   
  //mouse click event.
  onMouseDown: function(a, i){
   a.onmousedown = function(){
    page.no = i;
    obj.pingSearch();
   }
  },

  //Time 에러 수정.
  changeTime: function(str){
   var s = str.lastIndexOf('.')-1;
   var e = str.lastIndexOf('+')+1;
   
   var str2 = str.substr(0,s) + '%2B' + str.substr(e,100);
   
   return str2;
  },
  
  // HTML태그 안 먹게 하는 함수
  escapeHtml: function (str) {
   str = str.replace(/&/g, "&");
   str = str.replace(/</g, "<");
   str = str.replace(/>/g, ">");
   return str;
  }
 };

 page.init('http://creatorhong.blogspot.com', 5);
 page.setPage();
 obj.init(); 
 obj.pingSearch();
</script>
블로그 관리의  레이아웃 가젯에 위의 자바스크립트를 넣으면 끝.
아!!! creatorhong.blogspot.com 은 자신의 블로그 주소를 넣으면 됨. 

2014년 11월 4일 화요일

더하기 빼기 산수 10문제 랜덤하게

From 삼촌
산수 문제    

다 풀었어?    

To 조카


2014년 7월 6일 일요일

재미로 만들기. 구분되는 문자열의 문자에 특정 문자 넣기

1. 변경하기 원하는 문자열 입력하기.


ex> 1 2 3 4 5 6 7 8 9 10

2. 구분하기 원하는 텍스트 입력하기.(split)


ex> 공백(space bar)

3. 구분한 문자에 씌울(?) 문자 입력하기.(add)


ex> "

4. 구분된 문자들의 사이에 넣을 문자 입력하기.(Div)


ex> ,

5. 변환 해보기.



6. 결과 보기.


ex> "1","2","3","4","5","6","7","8","9","10"

대항해시대 조선 랭작

숙련도 획득 방법 선박 건조, 선박 강화, 전용함 추가시 숙련도 획득 모두 동일한 공식 적용 획득 숙련도 공식 기본 획득 숙련도 ≒ int{건조일수 × 현재랭크 × (0.525)} 이벤트 & 아이템 사용...